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제빙기 관리는 어떻게 하나요?

by 분해왕 2025. 5. 4.
반응형

시원한 얼음을 책임지는 제빙기,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얼음 상태가 나빠지고, 고장까지 날 수 있어요.

제빙기를 오래오래  잘 쓰기 위해 꼭 알아둬야 할 관리 방법을 소개합니다.

카이저제빙기 (공랭식)

1. 기본은 '청결 유지', 한 달 1~2회는 필수

제빙기는 물을 얼려서 얼음을 만드는 기계인 만큼 위생이 가장 중요합니다. 

기본적으로 한 달에 1~2회 정도는 내부 청소를 해줘야 하고, 특히 얼음 보관용 통은 월 1회 이상 깨끗이 청소해서 

세균 번신을 막아야 합니다.

 

청소할 때는 부드러운 천을 사용해서 표면과 내부를 닦아주세요. 금속 표면이 부식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물청소를 할 경우 전기장치에 물이 닿지 않도록 각별히 조심해야 합니다. 작은 습관이 고장을 예방하더라요~

2. 공랭식? 수냉식? 방식에 따라 관리법이 달라요

제빙기에는 공랭식과 수냉식 두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공랭식은 말 그대로 공기를 통해 열을 식히는 방식이라, 공기 흐름이 막히지 않게 먼지를 자주 청소해 줘야 합니다.

특히 통풍구나 팬 주변에 먼지가 쌓이면 냉가 효율이 떨어집니다.

 

반면 수냉식은 물을 이용해 열을 식히는 방식인데, 겨울철에 동파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응축기와 펌프 안의 물을 모두 빼줘야 합니다.

물탱크 내부 물도 잊지 말고 비워주기! 기온이 영하고 떨어지는 날씨에는 꼭 채겨야 할 부분입니다.

3. 제빙기는 아무 데서나 작동하지 않아요

많은 분들이 놓치는 포인트 하나, 제빙기는 규정된 기온과 수온에서만 정상 작동합니다.

기온이 너무 낮거나 물이 너무 차가우면 작도이 멈추거나 얼음 생성이 불균형해질 수 있어요.

특히 겨울철에는 이 조건을 잘 확인해야 합니다.

"왜 얼음이 안 나올까?" 싶을 땐 실내 온도와 수온부터 체크하세요.

4. 얼음이 이상하거나 소음이 난다면?

"얼음이 들쭉날쭉해요", "기계에서 북북북 소리가 나요"

이런 증상은 대개 물 공급이 원활하지 않거나 기계내부에 문제가 생겼을 때 발생합니다.

 

아래 체크리스트를 따라 점검해 보세요

물의 양이 충분한지 확인

정수기 필터에 이물질이 껴 있는지 점검

분사 노즐이 막혀 있지 않은지 확인

증발기판이나 냉매관이 들떠 있지 않은지 살펴보기 

이 네가지만 체크해도 대부분의 문제는 해결됩니다.

 

마무리

제빙기 관리는 어렵지 않지만, 소홀히 하면 위생과 성능 모두에 문제가 생깁니다.

한 달에 한두 번만 꼼꼼히 점검하고 청소해도 고장 없이 오래 쓸 수 있어요.

얼음이 잘 안 나오거나 계가 이상하다고 느껴지면 , 위에 서 소개한 내용을 하나씩 체크해보세요.

작은 관리가 고장 예방의 시작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