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7

제빙기 수리 전 점검 필수 체크 5가지 제빙기는 단순한 기계가 아닙니다. 물, 센서, 냉각장치, 배관 등여러 요소가 유기적으로 작동해야만 안정적인 얼음 생산이 가능합니다.그러나 사용하는 환경이나 관리 상태에 따라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조기에 파악하고 조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현장에서 자주 발생하는 문제 중 5가지 항목에 대한 실제 점검 포인트와 해결 방법을 소개합니다.1. 얼음이 저장통에서 넘치는 겨우 대처법제빙기가 얼음을 멈추지 않고 계속 만들어 저장통에서 넘치는 상황은 빈센서 오작동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먼저 빈센서 위치나 각도를 조정하여 정상 동작을 유도합니다.그래도 문제가 지속되면 센서 자체가 불량일 가능성이 크므로 교체가 필요합니다.최근에는 기계식 센서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성능을 보여 고장률이 낮습.. 2025. 5. 7.
제빙기 설치 시 주의사항 5가지 제빙기를 설치한다고 끝이 아닙니다. 물, 전기, 배수, 주변 환경, 유지관리까지 모든 요소가 제빙기의 성능과 직결됩니다.제빙기를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설치 단계부터 철저한 계획과 점검이 필요합니다.특히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제빙기의 경우,설치 실수가 곧 운영 차질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기본부터 정확히 알아두어야 합니다.이번 글에서는 제빙기 설치 시 반드시 확인해야 할 58가지 핵심 사항을 정리했습니다. 1. 급수와 전기 배선, 기본이지만 중요하다.제빙기에는 깨끗하고 안정적인 급수가 필수입니다. 급수 배관은 좁은 호스보다는 굵은 배관으로 연결해 물공급이 원활해야 하며, 중간에 꺾이거나 눌리지 않도록 설치에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 급수관에는 반드시볼밸브를 설치해 비상시 급수를 차단할 수 있어야 합.. 2025. 5. 6.
제빙기 고장 원인과 해결법 총정리 제빙기는 음식점, 카페, 병원, 공장 등 다양한 현장에서 사용되며, 안정적인 얼음 공급이 중요합니다.그러나 사용 중 얼음이 떨어지지 않거나, 물이 넘치거나, 외부로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로 불편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본 글에서는 제빙기 고장의 대표적인 5가지 사례와 정확한 진단 및 수리 방법을 정리하였습니다. 1. 얼음이 떨어지지 않는 원인과 진단법제빙 중 얼음이 저장통으로 떨어지지 않는 경우, 가장 흔한 원인은 에바센서(증발판 센서)의 오작동입니다.이 센서는 얼음이 얼었는지를 감지해 제빙 종료 및 탈빙 타이밍을 결정하는 핵심 부품으로, 고장 시 얼음이 붙은 채로 유지됩니다.센서 값이 일정하지 않거나, 감지가 늦는가면 센서 교체가 필요합니다. 또한, 빈센서의 오작동도 영향을 줍니다. 저장통에 얼음이 충분.. 2025. 5. 6.
제빙기 냉매 순환 원리 종류 색상 구분 제빙기의 핵심은 '냉매의 흐름'입니다.냉매는 얼음을 만드는 데 직접 관여하며, 이를 조절하는 부품들의 역할 또한 매우 중요합니다.이 글에서는 제빙기 냉매 순환 과정과 그에 관련된 핵심 부품들의 기능을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제빙기를 제대로 관리하고자 한다면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할 정보입니다.1. 응축기 이후 냉매는 액체로제빙기의 냉각 사이클은 압축기 → 응축기 → 팽창밸브(또는 모세관) → 증발기(에바판) → 다시 압축기로 이어지는 반복적인 흐름입니다.냉매는 먼저 압축기를 지나 고온●고압의 기체 상태가 되고, 응축기(콘덴서)를 통과하면서 열을 방출하고 액체로 변합니다.이렇게 액화된 냉매는 모세관이나 팽창밸브를 지나면서 압력이 낮아지고, 에바포레이터(에바판) 로 들어가며 다시 기화하면서 주변 열을 흡수합.. 2025. 5. 5.